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우한폐렴대비]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음식 우한폐렴(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유행하면서 몸 자체의 면역시스템을 높여서 대비를 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 또한, 몸의 면역을 높이면 바이러스가 침입하더라도 발병하지 않거나, 발병하더라도 치유가 가능하다고 이야기 한다. 간호학을 배우면서 우리몸의 면역 시스템을 배우고, 면역을 높이려면 무엇이 중요한지(적절한 수분섭취, 비타민C 등 필수 영양소/미네랄의 섭취 등)이 배우긴 했지만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이번 기회에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음식'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려고 한다. 따로 영양제를 챙겨먹기에 앞서서 우리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식재료'로 면역력을 증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면역력 향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전문가의 건강칼럼을 .. 더보기
[기본간호학 공부] 감염관리 3 기본간호학 공부 / 감염관리 3번째 공부 최근 코로나바이스러스의 확산과 관련해서 '감염관리'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고 있다. 공중에서의 감염관리, 병원에서의 감염관리는 감염병 예방의 첫걸음이다. 오늘은 '멸균'과 '소독 과정'의 어러가지 종류와 예에 대해서 공부하고, 또 '손씻기'에 대해서 공부해 보고자 한다. 방법/ 특성 사용 예 끓이는 소독(boiling water) *가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가장 값싸고 편리한 방법 *박테리아성 아포와 일부 바이러스는 끓여도 죽지 않는다. 우유병(적어도 15분간) 건열 소독(dry heat) *멸균과정은 물품의 가장 바깥면이 열을 흡수하고 그 다음 안쪽으로 통과하게 됨 *세포 단백질의 응고는 미생물의 파괴를 가져온다. * 부식이 저고 투과력이 좋아 금속제품에 사용(.. 더보기
[약물공부] 임상약리학3 콜린차단제 저번 약물공부 시간에는 (임상약리학2 콜린약물 포스팅 참조) 콜린약물의 해부,생리 및 병태적 개요와 부교감 신경계, 약리새요, 콜린약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오늘은 콜린약물과 반대되는 작용을 한다고 할 수 있는 '콜린차단제'에 대해서 공부하려고 한다. 먼저 콜린차단제에 대해서 간략한 용어 설명을 해보자. * 콜린차단제(cholinergic-blocking drugs): 시냅스의 수용체부위에서 아세틸콜린 및 아세틸콜린과 유사한 작용을 나타내는 물직의 작용을 차단하는 약물. 이들 약물은 아세틸콜린을 유리하여 신경충동을 전달하는 콜린성 신경의 작용을 차단함. -해부, 생리 및 병태생리개요 부교감 신경계 부교감 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상반되는 기능을 가지는 자율신경계의 가지이다. 아세틸콜린은 부교감 신경계에서 작.. 더보기
[기본간호학 공부] 감염관리 2 지난 번 감염관리 공부(감염관리-감염회로)에 이어서 오늘은 '감염관리'의 '제2 감염단계'와 '제3 감염에 대한 신체방어기전'에 대해 공부하도록 하겠다. 앞의 내용을 안 보신 분들이나 감염회로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앞의 포스트 감염관리1을 보시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감염관리 2. 감염단계 감염단계는 잠복기, 전구기, 발병기, 회복기이다. 잠복기는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간 시기와 첫 징후가 나타나는 시기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잠복기간은 다양하여 수두는 2주, 감기는 1~2일, 유행성 감기는 1~3일, 유행성이하선염은 18일 정도이다. 감염의 단계는 크게 전구기, 발병기, 회복기로 나눌 수 있다. (1) 전구기: 초기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는 질병의 초기단계를 말한다. 예를 들면, 불쾌감, 미열, 피로.. 더보기
[기본간호학 공부] 감염관리1 '기본간호학'은 말 그대로 '간호'의 기본, 즉 밑바탕이 되는 학문이다. 그리고 간호학과를 편입하여 2학년 때에 가장 먼저 배운 학문이기도 하다. 그만큼 다른 간호학을 배우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겠지. 기본간호학과 성인간호학 교과서는 임상에 나가서도 한번씩 뒤적거리게 된다고 한다. (물론 다른 서적도 참고해야 할 경우가 있겠지만) 임상에 나가기 앞서서 다시 복습할 겸 웨이팅 기간에 기본간호학 공부를 하려고 한다. 기본간호학 교과서를 뒤적거리면서 현재로서 가장 관심이 간 파트는 '감염관리'파트 이다. 현재 '우한폐렴'(코로나 바이러스) 로 인해 전 세계가 떠들썩하고 공중보건에도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은 기본간호학 '감염관리'중에서 '1. 감염회로' 대해서 공부하고자 한다. .. 더보기
[약물 공부] 임상약리학 2 콜린약물 약리학 공부 두번째 시간이다! 저번에는 약리학의 분류 중에서 '약물 치료학'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있게 다루어보았다. 개인적으로는 약물치료약의 정의를 알고, 각종 요법(Therapy)의 개념과 예를 알게 되어서 좋은 시간이었다. 오늘은 본격적으로 임상에서 쓰이는 '약물'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임상에서 간호를 하면서 이번에 배운 약물들을 만날 날이 오겠지?^_^ -먼저 약물은 작용기전에 따라 크게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 '심혈관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 '순환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 '호흡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 '위장관계와 영양에 영향을 주는 약물', '항감염약물과 항염증약물', '면역 생물학적 조절약물과 화학요법 약물', '내분비계에 영향.. 더보기
[약물공부] 임상약리학 1 약물치료학 및 요법의 종류 간호사 국가고시도 끝났고..얼마전에는 내가 갈 병원의 원티드지원도 끝냈다.이제 남은 것은 약 1~2달 동안 쉬는 것인데... 쉬면서 임상에서 쓰이는 약에 대해서 공부해보면 어떨까?하는 생각으로 한 편씩 약리학에 대한 정보를 올리고자 한다.교재는 (지은이:Linda Lane Lilley, Shelly Rainforth Collins, Julie S.Snyder, 옮긴이: 김수경, 권지윤 외 (2015).「알기쉬운 임상약리학 7판」 정담미디어)를 참고하였다. *약물학의 기초-약리학읜 원리에는 카테고리가 '제약학', '약동학', '약력학', '약물치료학', '생약학', '약물경제학''독성학' 등이 있다. 오늘은 이 중에서도 '약물치료학'에 대해 비중있게 다뤄보고자 한다. 약물치료학 PHARMACOTHERAPE.. 더보기
[화장품 성분]피부재생 화장품 EGF 에 대하여 요즘 들어 부쩍 피부재생/피부탄력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20대 극후반에 들어서서 그런걸까?)피부과에서 레이저로 점을 빼고 바르라고 주던 'EGF 재생크림'에 다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그 당시에는 바르라고 하니까 바르기는 한데, 액상형태인 이 화장품이 과연 피부세포를 재생하는데도움을 줄 것인가, 의문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EGF성분에 대해 공부해 보기로 하였다. 검색을 통해 알아보니 EGF는 미국과 일본이 유명한 것 같다. 나는 영어보다는 일본어와 좀 더 친하기 때문에(Feat. 일본어 전공자) 일본에서 설명하는 EGF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 EGF의 정식이름은?- Epidermal Growth factor로 한국어로 표피세포 성장인자라고 할 수 있다.표피를 성장, 증식시키는 인자. 즉,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