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뷰티 칼럼과 리뷰

[약물 공부] 임상약리학 6 항 고혈압 약물

오늘 임상 약리학 공부는 임상에서 자주 쓰이는 약물 중 하나인 항 고혈압 약물에 대해서 공부하려고 한다.

병원에 진료받으러 오시는 환자분들 중에는 지병을 가지고 있으신 분이 많이 계신데, 흔한 지병 중 하나가 바로 '고혈압'이다. (당뇨와 양대산맥을 이룬다..)

고혈압은 식사습관 와 생활습관으로 인해서 현대인에게 생기기 쉬운 질환이므로 항 고혈압 약물에 대해서 공부해 두는 것은 의료인은 물론, 의료인이 아닌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항 고혈압 약물 (Antihypertensive Drugs)

 

- 해부, 생리 및 병태생리 개요

 고혈압은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 및/ 또는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으로 정의한다. 고혈압은 관상동맥질환, 심혈관계 질환 및 심혈관계 원인에 의한 사망의 주요 위험인자이다. 혈압과 심혈관계 질환 위험의 관계는 명백해서 혈압이 높을수록 심혈관계 질환이 증가한다.

고혈압은 '일차 고혈압(본태성, 특발성 고혈압)'과 '이차 고혈압'으로 나뉜다. 일차 고혈압은 고혈압의 원인을 모르는 것이고, 이차 고혈압은 어떠한 질환이나 약물이 원인이 되어 생기는 것이다. 고혈압의 90%는 일차 고혈압이며, 10%가 이차 고혈압이다. 

 

-약리 개요

고혈압 약물은 기본적으로 이뇨제, 아드레날린 작용제, 혈관확장제, ACE억제제, ARB. CCB 및 직접 renin 억제제의 7가지로 구분한다. 모든 항고혈압제(이뇨제는 예외)는 다소 혈관 확장작용이 있으므로 혈관 확장제 군을 구분하기 위하여 직접 혈관확장제라고 부른다. 아래는 항 고혈압 약물을 구분하고 정리한 표이다.

항 고혈압 약물의 대분류와 소분류

아드레날린 약물

˙ 중추 및 말초 작용성 아드레날린성 뉴런 차단제

˙ 중추 작용성 α2 수용체 작용제

˙ 말초작용성 α1 수용체 차단제

˙ 말초작용성  β 1 수용체 차단제 ( β 차단제)

  ˙ 심장선택적 ( β 1 수용체 차단제)

  ˙ 비선택적 ( β 1 및 β 2 수용체 차단제)

˙ 말초작용성 α1 및  β 수용체 차단제 

Angiotensin - Converting Enzyme 억제제
Angiotensin  II 수용체 차단제

Calcium 통로 차단제

 ˙ Benzothiazepine

 ˙ Dihydropyridine

 ˙ Phenylalkylamine

이뇨제

 ˙ 고리 이뇨제

 ˙ 칼륨 보전 이뇨제

 ˙ Thiazides와 thiazide 유사 이뇨제 

혈관 확장제

 ˙ α 또는 β 수용체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혈관 평활근에 작용한다.

 직접 Renin 억제제

< 고혈압 약물의 종류와 상세 사항>

 

1. 아드레날린 약물

 

-작용기전 및 약물효과

 

 위의 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아드레날린성 고혈압 약물은 5가지로 세분된다.      

중추 작용성 아드레날린 약물은 뇌의 α2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흥분시킨다.  α2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실질적으로 중추신경계의 교감신경계를 억제한다. Norepinephrine(노에피네프린)이 감소하면 혈압이 내려간다. α2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신장에 작용하여 renin활성을 감소시킨다. (renin은 혈관을 수축하여 혈압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이다. )

 말초 작용성 약물은  α1 및  β1 차단제가 있다.  말초에서  α1 차단제인 doxazosin, prazosin과 terazosin이 SNS(교감신경계)의 기능을 변화시킨다. 이 약은 α1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차단한다.  α1 아드레날린 수용체가 순환하고 있는 Norepinephrine에 의해서 흥분하면 혈압이 올라가고 이 수용체가 차단되면 혈압이 내려간다. 

β1 차단제도 말초에 작용하며 propranolol(프로프라놀롤), atenolol (아테놀올)등이 있다. 이 약물은 심장박동 장애에 대한 치료작용도 있고,  β1 수용체를 차단하여 심장박동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항고혈압 작용을 한다. 또한 호르몬 renin(혈압 상승을 유발하는 호르몬) 분비를 감소시켜서 혈관 수축과 aldosterone에 의한 체액 확장을 감소시킨다. β1 차단제를 장기간 사용하면 말초혈관저항도 감소된다. 

 

-적응증 

 고혈압 치료에 주로 사용하는 위의 언급한 모든 약물은 단독 또는 다른 항고혈압 약물과 병합 사용한다. 여러 형태의 녹내장도 여기에 속하는 일부 약물로 치료할 수 있다. 

 

- 금기증

 아드레날린성 고혈압 약물의 금기증은 알려진 약물 알레르기, 급성 심장기능장애, monamine oxidase 억제제와의 병합 사용, 심한 우울증, 소화 궤양, 대장염 및 여러 간 또는 신장질환이다. 천식도 심장에 비선택적인  β1 차단제의 금기증이다.

 

-유해 효과(부작용)

 아드레날린성 약물의 가장 흔한 유해 효과는 반사성 빈맥이 있는 서맥, 체위 및 운동 후 저혈압, 구강건조, 졸음, 진정, 어지럼, 부종, 변비 및 성기능 장애(예: 발기부전)이다. 두통, 수면장애, 오심, 발진, 혈액의 말초 저류, 두근거림과 같은 심장 기능장애가 있을 수 있다.

 

2.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억제제)

 

-작용기전 및 약물효과

 

 ACE억제제는 심혈관계에서 여러 가지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 명칭이 의미하는 것처럼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를 억제한다. ACE는 안지오텐신 1을 안지오텐신 2로 전환시킨다. 안지오텐신 2는 강력한 혈관 수축제(혈압 상승하게 함)이며 부신에서 알도스테론 분비를 유도한다. 알도스테론은 나트륨과 물을 재흡수하여 혈압을 올릴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틀어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계라고 하는데 ACE 억제제는 이 과정을 억제하여 혈압을 내린다. 

ACE억제제는 알도스테론 생성을 억제하여 나트륨과 물의 재흡수를 막기 때문에 심부전 치료에 유효하다. 이뇨작용을 일으켜서 혈액량과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량을 감소시킨다. 

 

- 적응증

 ACE 억제제의 치료효과는 강력한 심혈관계 효과에 기인한다. 이 계통의 약물은 항고혈압 효과가 우수하며 심부전 치료에 보조제로 사용된다. 고혈압이나 심부전 치료에 보조제로 용한다. 

 

- 금기증

 알려진 약물 알레르기, 특히 ACE 억제제로 인하여 이전에 혈관부종(예: 후두 부종)이 있었던 경우, 칼륨 기저치가 5 mEq/L 이상인 환자, 수유모, 어린이, 양측 신동맥 협착 환자는 금기이다.

 

- 유해 효과

 ACE 억제제의 주요 중추신경계 효과로 피로, 어지럼, 기분변화 및 두통이 있으며 가래를 동반하지 않는 마른기침이 생길 수 있다. 

 

3.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n  II Recenptor Blockers, ARBs) 

 

-작용기전 및 약물효과

 

새로운 항고혈압 약물군 중의 하나로써 여기에는 losartan(Cpzaar), eprosratan(Teveten), valsartan(Diovan) 등이 있다. ACE억제제와는 달리 안지오텐신 II(Angiotensin  II) 수용체 차단제(ARB)는 주로 혈관 평활근과 부신에 영향을 준다. 이들 조직에서 안지오텐신 II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ARBs는 혈관 수축과 알도스테론 분비를 억제한다. 

 

- 적응증

ARBs는 우수한 항 고혈압제이이며 신부전의 보조치료제이다. 고혈압과 심부전 치료에 단독 또는 이뇨제와 같은 약물에 병용된다. 

 

- 금기증

ARBs는 알려진 약물 알레르기, 임신 및 수유기 여성에는 금기이다. 노인과 신기능장애 환자는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 유해 효과

ARBs의 가장 흔한 유해 효과는 상기도 감염과 두통이다. 때때로 어지럼, 수면장애, 설사, 호흡곤란, 가슴 쓰림, 비충혈, 요통과 피로가 올 수 있다. 고 칼륨 혈증은 ACE억제제보다 훨씬 드물다.

 

4. 그 외에 Calcium 통로 차단제  (Benzothiazepine, Dihydropyridine,  Phenylalkylamine)와 이뇨제 (고리 이뇨제 , 칼륨Thiazides와 thiazide 유사 이뇨제), 혈관확장제(minoxidil, Diazoxide, hydralazine, nitroprusside 등)가 항고혈압 약물로 쓰인다.  

 

참고문헌: 지은이: Linda Lane Lilley, Shelly Rainforth Collins, Julie S.Snyder, 옮긴이: 김수경, 권지윤 외 (2015) 알기 쉬운 임상 약리학 7판 정담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