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뷰티 칼럼과 리뷰

[약물 공부] 임상약리학 2 콜린약물

약리학 공부 두번째 시간이다! 저번에는 약리학의 분류 중에서 '약물 치료학'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있게 다루어보았다.

개인적으로는 약물치료약의 정의를 알고, 각종 요법(Therapy)의 개념과 예를 알게 되어서 좋은 시간이었다. 

오늘은 본격적으로 임상에서 쓰이는 '약물'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임상에서 간호를 하면서 이번에 배운 약물들을 만날 날이 오겠지?^_^

 

-먼저 약물은 작용기전에 따라 크게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 '심혈관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 '순환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 '호흡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 '위장관계와 영양에 영향을 주는 약물', '항감염약물과 항염증약물', '면역 생물학적 조절약물과 화학요법 약물', '내분비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로 분류할 수 있다.

 

오늘은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약물' 중에서도 '콜린약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해부, 병리 및 병태생리 개요

부교감 신경계를 흥분시키는 약물을 콜린약물(cholinergics, cholinergic agonist, parasympathomimetics)이라고 한다.

*부교감신경계(Parastmpathetic nervous system)

부교감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상반되는 신경기능을 가지는 자율신경계의 가지이다. 부교감신경계에서 작동세포로 신경충동을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으로 아세틸콜린이 결합하여 작용을 나타내는 수용체를 콜린 수용체라고 하며, 분포양상과 작용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니코틴 수용체는 교감 및 부교감 신경계의 신경절에 분포한다. 

담배의 알칼로이드 니코틴에 의해 흥분하기 때문에 니코틴 수용체로 불리는 것이다. 콜린수용체의 또 다른 유형은 무스카린 수용체이며 부교감신경섬유가 분포하는 효과기(평활근, 심장근육, 샘)의 시냅스후부에 존재한다. 무스카린 수용체라고 불리는 것은 버섯에서 추출한 알카로이드인 무스카린에 의해 흥분되어서 그렇게 불린다.

 

-콜린약물 약리 개요

 

콜린작용제는 2가지로 분류된다. 

1. 직접콜린작용제: 콜린의 수용체에 직접 결합하여 수용체를 활성화 시킴

2. 간접콜린작용제: 시냅스 후 신경세포에서 아세틸콜린의 유리를 자극함

 

콜린약물(Cholinergic Drug)

직접작용 약물

bathanechol (Urecholine)

carbachol(Carboptic, 기타)

pilocarpine(Salagen, Pilocar)

succinylcholine(Anectine, Quelicin)

 

간접작용 약물

donepezil(Aricept)

echothiophate(Phospholine lodide)

edrophonium(Tensilon, 기타)

galantamine(Razadyne)

neostigmine(Prostigmin)

physostigmine(Antilirium)

pyridostigmine(Mestinon)

rivastigmine(Exelon)

tacrine(Cognex)

-작용기전 및 약물효과

직접 및 간접 콜린약물의 효과는 부교감신경계의 활성에 의해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작용이다. '휴식 및 소화계' 작용으로 생각하면 편하다.

콜린 약물은 장관과 방광을 자극하여 위산분비, 위장관운동, 빈뇨 등을 증가시키고 동공을 수축하여 축동을 일으켜 안압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침분비와 발한을 증가시킨다. 이 계통의 약물은 심장박동수 감소와 혈관확장과 같은 심혈관계효과를 가진다. 또한 폐의 기관지를 수축하고 기도를 좁힌다. 아세틸콜린은 정상 뇌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적응증

1. 직접작용약물

Carbachol, pilocarpine과 같은 일부 직접작용약물은 녹내장 또는 안과수술을 받는 환자에소 안압을 내리기 위해 국소적으로 사용한다. bethanechol은 경구로 투여하는데 방광의 배뇨근과 위장관의 평활관에 영향을 비친다. 방광 및 위장관의 괄약근을 이완시켜 배뇨와 배변을 촉진하고 위장관의 긴장도와 운동을 증가시킨다. 또한 직접작용약물인 cevimeline은 쇼그렌증후군에 의한 심한 구강건조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2. 간접작용약물

간접작용약물은 골격근의 수축을 일으키기 때문에 중증근무력증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한다. 또한 아세틸골린에스테라아제를 억제하므로 근이완제나 항콜린약물중독에 의한 신경근육차단을 역전시키는 데 사용한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에도 이용된다. 알츠하이머병은 아세틸콜린이 감소되어 있는 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에서 콜린약물은 콜린에스테라아제를 억제하고 내인성으로 유리된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한다. 뇌의 아세틸콜린 농도가 증가하면 기억 및 학습능력의 증강과 유지에 도움을 준다.

 

-금기증

콜린약물의 사용에 대한 금기증에는 알레르기, 위장관 또는 비뇨생식기의 폐쇄, 서맥, 심장박동전도의 결함, 갑상샘 항진증, 뇌전증, 저혈압,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다. 파킨슨병에는 주의해서 사용하도록 한다. 그러나 rivastigmine(Evelon)은 치매가 있는 파킨슨병 환자에게 사용한다.

 

(출처: 지은이: Linda Lane Lilley, Shelly Rainforth Collins, Julie S.Snyder, 옮긴이: 김수경, 권지윤 외 (2015) 알기쉬운 임상 약리학 7판 정담미디어 p55~58)